본문 바로가기

경제정보

모다드림 청년통장으로 최대 960만원 받는 법

by 로드으 2025. 7. 1.
728x90
반응형

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‘내 집 마련’이나 ‘창업 자금’, ‘자산 형성’에 대해 고민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. 특히 매달 빠듯한 수입으로 목돈을 모으기란 쉽지 않죠. 이런 현실 속에서 경상남도가 청년들을 위해 마련한 ‘모다드림 청년통장 지원사업’은 자산 형성과 안정적인 미래 준비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.

모다드림 청년통장이란?

모다드림 청년통장은 경상남도가 도내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하는 통장 매칭 사업입니다. 매달 청년이 20만 원을 2년간 적립하면, 경남도와 시군에서 추가로 20만 원을 매칭하여 총 960만 원을 적립할 수 있습니다. 여기에 이자까지 더해지므로 만기 수령 시 최대 약 985만 원까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
만 18세 이상 ~ 39세 이하의 청년 중 아래 요건을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.

  • 경상남도 내 거주자
  • 도내 근로자 또는 청년 사업주
  • 가구 기준 중위소득 130% 이하
  • 건강보험 및 고용보험 가입자

예시: 건강보험료 기준

가구원 수 직장 가입자 지역 가입자
1인 가구 103,010원 35,610원
2인 가구 161,850원 126,680원
3인 가구 217,370원 170,350원
4인 가구 265,850원 227,420원
5인 가구 314,420원 280,730원
언제, 어떻게 신청하나요?
  • 신청 기간: 25. 7. 1.(화) 13:00 ~ 25. 7. 31.(목) 18:00
  • 신청 방법: 모다드림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

모다드림 청년통장 신청하기

📌 제출 시 경남 거주 및 재직 증빙 자료, 소득증명, 보험 가입 여부 확인서류가 필요합니다.

선발 기준과 인원은?

  • 선정 기준: 소득 수준, 경남 거주 기간, 근로 및 사업 기간, 연령 등
  • 모집 인원: 상반기 500명 (시·군별 차등 배정)
지역모집 인원
창원 100명
진주 65명
김해 65명
양산 50명
거제 43명
기타 시군 총 177명

중도해지나 이직하면 어떻게 되나요?

청년의 경력과 상황을 배려한 유연한 제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.

  • 납입 중지 가능: 사유 관계없이 3개월간 중지 허용
  • 비정규직 퇴사 시: 최대 6개월 이내 재취업 시 재참여 가능
  • 기업 귀책사유(휴업·권고사직 등): 중도해지금 전액 지급
  • 청년 귀책사유(이직·자발적 해지): 환수 가능

중복 가입 가능 사업과 불가 사업은?

  • 중복 가능: 청년도약계좌, 청년희망적금
  • 중복 불가: 희망키움통장, 청년내일채움공제, 청년저축계좌 등

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

  • 경남에 거주하며 근로 중인 사회 초년생
  • 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 사업주
  • 장기 재직을 계획 중인 비정규직
  •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시작하고 싶은 청년

마무리: 지금이 기회입니다!

모다드림 청년통장은 단순한 저축 프로그램이 아닙니다. 청년이 장기 근로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재정적 기반이자, 경력 개발을 위한 장치입니다. 두 번 다시 없을 2년 후 960만 원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!

 

👇같이 보면 좋은 글 👇

청년취업지원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? 희망디딤돌 신청방법

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방법과 조건 총정리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