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중소기업 인력 채용, 청년·중장년 고용 모두 고민되시죠?
2025년 서울형 이음공제의 신청 자격, 혜택, 참여 절차까지 전부 안내해 드립니다.
고용 유지와 지원금 혜택을 동시에 챙길 수 있기 때문에 제가 핵심만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서울형 이음공제란?
서울형 이음공제는 서울시가 주도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(중진공)이 협력하는 고용 지원 정책입니다.
서울 소재 중소·중견기업이 청년 및 중장년을 채용할 경우, 3년간 월 34만원의 공제부금을 납부하면, 근로자가 3년 후 최대 1,224만 원 + 복리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이 제도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구조가 아닌, 기업과 근로자, 정부·지자체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고용을 유지하고 기술을 전수하며, 세대 간 상생을 도모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
주요 지원 유형별 정리
1. 청년 이음공제 (만 19~39세)
- 대상 근로자: 만 19세 이상 ~ 39세 이하 청년
- 대상 기업: 서울시 소재 중소·중견기업
- 조건:
- 2025년 신규 채용된 청년
- 정규직(기간 정함 없는 계약)
- 4대 보험 가입자
- 적립 방식:
- 근로자: 월 10만 원
- 기업, 서울시, 정부: 각 8만 원
- 총 월 34만 원 × 36개월
- 혜택: 3년 후 근로자에게 총 1,224만 원 + 복리이자 지급
2. 중장년 이음공제 (만 50~64세)
- 대상 근로자: 만 50세 이상 ~ 64세 이하 중장년
- 특이사항:
- 신규채용뿐만 아니라 6개월 내 재채용도 포함
- 60세 이상은 국민연금 제외 가능
- 조건, 적립 및 혜택: 청년 이음공제와 동일
3. 세대이음 고용지원금
- 조건: 청년과 중장년을 같은 해에 동시 또는 순차 채용하고 모두 이음공제 가입
- 매칭 시점 기준으로 1년간 고용 유지 시, 기업이 납입한 청년·중장년 분 공제금 전액 환급
- 지원금: 연간 192만 원, 최대 3년간 총 576만 원 환급
- 최대 3쌍까지 신청 가능
부가 혜택: 세대 간 상생 고용 우수기업 선정
서울시는 기술이전 및 세대 융합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매년 ‘상생 고용 우수기업’을 선정 및 포상합니다.
- 신청 대상: 세대이음 고용지원금 수혜기업 중 기술전수 및 협업 우수 사례 기업
- 심사 기준: 멘토링, 기술이전, 디지털 융합 등
신청 방법 및 절차
📅 신청 기간
- 2025년 8월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상시 접수
📝 신청 대상
- 기업이 대표로 신청하며, 근로자 관련 서류 함께 제출
📌 신청 경로
- 온라인: 중진공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
- 우편: 경상남도 진주시 영천강로 167 이노휴먼시티 4층 성과보상처
✅ 심사 절차
- 1차 심사: 서울시
- 2차 심사: 중진공
- 승인 후 첫 공제부금 납입 → 계약 성립
제외 대상 및 유의사항
기업
- 휴·폐업 상태 또는 사업자 등록 미비
- 유흥업종, 도박 관련 업종
- 국세 및 지방세 체납
- 정부 지원금 부정수급 이력
근로자
- 기업 대표 또는 사업자등록자
- 서울시 및 정부의 자산형성/고용지원 사업 참여자
- 외국인
중도 해지 및 해지환급금
공제는 언제든 해지가 가능하나, 해지 시점과 귀책 사유에 따라 환급 여부가 달라집니다.
귀책사유 | 공제금 환급 대상 |
기업 귀책 | 근로자 전액 수급 |
근로자 귀책 | 기업 일부 환급 가능 (조건부) |
6개월 이상 미납 | 서울시·중진공 수급 |
근로자 사망·업무상 재해 | 근로자 전액 수급 |
※ 세대이음 고용지원금도 한 명이라도 해지되면 자동 해지되며,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환급 불가
왜 지금 신청해야 할까?
서울형 이음공제는 고용안정, 인력양성, 기술전수, 재직장려, 자산형성이라는 5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종합형 고용정책입니다. 특히 2025년은 고용불안 해소와 청년·중장년 협업문화 확산을 위해 중점 추진되는 해로,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.
728x90
반응형
'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KT 개인정보유출 확인법 – 지금 조회하세요 (1) | 2025.08.05 |
---|---|
노란봉투법내용 실제 사례로 이해하기 (5) | 2025.08.03 |
IRP·ISA·연금저축 계좌 제대로 활용하기 (1) | 2025.08.02 |
스포츠 상품권 지원, 최대 15만 원까지! (4) | 2025.08.01 |
소비쿠폰 이의신청 방법 놓친 지원금 되찾는 법 (5) | 2025.07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