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경제정보

가족간 계좌이체 증여세 피하려면?

by 로드으 2025. 7. 30.
728x90
반응형

"자녀에게 생활비 좀 보냈을 뿐인데, 혹시 세금 문제 생기면 어쩌지?" 이런 걱정, 요즘 더 많아지셨죠? 2025년 8월부터 달라지는 가족간 계좌이체 관련 증여세 기준과 국세청의 세무 감시 강화 내용을 쉽게 풀어드립니다. 실수로 과세 대상이 되지 않도록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들을 정리해드릴게요!


왜 가족간 계좌이체가 문제가 되나요?

2025년 8월부터, 가족 간 송금에 대한 국세청의 세무 감시가 본격화됩니다. 단순한 용돈이나 생활비조차 세금 부과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AI 기반의 실시간 세무 분석 시스템이 정식 도입되면서, 고액 부동산 거래나 기업 자금 흐름뿐 아니라 일반 가정 내 계좌이체, 특히 부모 자식 간 송금까지도 감시 대상에 포함됩니다.


AI 세무 감시 시스템이란?

AI 세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:

  • 카드 결제 내역
  • 간편결제 및 카카오페이 송금 기록
  • 가족 간 계좌이체 패턴
  • 배달앱 결제, 여행 경비
  • 통신 요금, 소득 대비 소비 규모

예시: 부모가 자녀 유학비로 매달 300만 원 송금 → AI가 소득·자산 대비 과도한 송금으로 판단 시 자금 출처 해명 요구

해명이 미흡하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
증여세 공제 기준 정리

증여 재산 공제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배우자: 6억 원까지
  • 성인 자녀: 5천만 원
  • 미성년 자녀: 2천만 원
  • 부모·조부모: 5천만 원
  • 형제·자매·기타 친척: 1천만 원

주의: 이 기준은 10년간 누적 합산 기준입니다!

 

예: 2019년 자녀에게 3천만 원 + 2025년 3천만 원 송금 → 6천만 원 중 1천만 원 과세 대상


생활비·교육비도 과세될 수 있나요?

생활비나 교육비는 원칙적으로 비과세입니다. 그러나 용도 증빙이 있어야 비과세가 적용됩니다.

  • ✅ 명확한 용도 지출 증빙이 있는 경우: 비과세
  • ❌ 송금 후 주식 매수, 주택 계약 등에 사용 시: 과세 대상

팁: 송금 시 이체 메모에 용도 기재 + 지출 내역 증빙자료 보관 필수


합법적인 절세 전략 2가지

전략 1: 시기를 나눠 증여하는 '분산 증여'

  • 10년마다 증여세 공제 한도가 초기화된다는 점을 활용
  • 예: 자녀가 태어났을 때 2천만 원 → 10년 뒤 또 2천만 원 → 성인 이후 5천만 원 → 다시 10년 후 5천만 원
  • 총 1억 4천만 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 가능
  • 핵심: 한 번에 주는 것이 아니라, 계획적으로 분산하는 것이 중요

전략 2: 생활비처럼 꾸준히 주는 '정기 송금'

  • 매달 20만 원씩 10년간 송금 = 총 2,400만 원
  • 공제 한도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면 비과세 인정 가능성↑
  • 특히 정기적인 계약 형태로 신고 시, 과세표준 자체가 낮아지는 효과
  • 펀드·주식으로 증여 시, 수익 부분에 대한 과세도 피할 수 있음

마무리

2025년 8월부터 시행되는 AI 세무 감시 시스템은 소액의 가족간 송금도 정밀하게 추적합니다. “가족 간의 정”이라는 명분으로 무심코 주고받던 돈이 세금 폭탄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.

이제는 반드시:

  • 증여세 기준을 사전에 파악하고
  • 송금 내역은 용도별로 메모하고
  • 자산 이전 목적일 경우 사전 계획 수립이 필요합니다.
 

상속세 개정으로 달라진 세율과 공제 한도, 제대로 이해하기

728x90
반응형